본문 바로가기
교육 및 워크숍/마을공동체와 활동가

사회적경제의 첫 경험터: 마을장터

by 량배츄 2024. 11. 28.
반응형

 

1. 마을장터의 개념

마을장터는 지역 주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지역 자원을 활용해 상품과 서비스를 교환하거나 판매하는 장터를 말하며, 단순한 경제적 활동을 넘어 사회적경제의 가치와 원칙을 실천하는 첫 경험의 장으로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사회적경제란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며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경제 활동이다.

마을장터는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소통, 지역 자원의 순환, 공동체 구성원 간 신뢰 형성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공동체 연대를 강화하며, 동시에 주민들이 사회적경제를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마을장터는 지역 내 사회적경제의 첫걸음이자 체험 교육의 장으로 자리 잡는다.


2. 마을장터의 특징

1) 지역 기반성과 순환성

  • 마을장터는 지역 내에서 생산된 농산물, 수공예품, 지역 특산물 등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 생산과 소비가 지역 내에서 이루어져 경제적 자원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 지역의 역사, 문화, 전통을 반영한 상품 구성으로 지역 특성을 강화한다.

2) 사회적 가치 실현

  • 단순히 수익 창출을 넘어 공정한 가격 체계, 친환경적인 생산과 소비, 취약계층의 경제 활동 참여 등 사회적 가치 실현을 목표로 한다.
  • 지역 주민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포용적 시스템을 지향한다.

3) 공동체와 협력 기반

  • 주민들 간 협력과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체 의식을 고취한다.
  • 주민, 마을기업, 협동조합, 지방자치단체 등이 함께 참여하여 운영된다.

4) 학습과 교육의 기능

  • 주민들에게 사회적경제의 원리와 가치를 자연스럽게 체험하고 이해하도록 돕는다.
  • 생산자와 소비자가 소통하면서 상품의 가치를 전달받고, 생산 과정과 철학을 배울 수 있는 학습의 장이 된다.

5) 환경적 지속 가능성

  • 로컬푸드, 친환경 제품, 재활용 상품 등의 판매를 통해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을 실천하도록 한다.
  • 플라스틱 사용을 최소화하고 재사용 가능한 용기를 활용하는 등 환경 보호를 장려한다.

6) 문화적 교류와 축제

  • 단순히 경제 활동에 그치지 않고, 주민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 활동, 공연, 축제와 결합하여 마을 공동체의 소속감을 강화한다.

3. 마을장터의 구성 요소

1) 상품과 서비스

  • 로컬푸드: 지역에서 재배된 신선한 농산물과 가공식품.
  • 수공예품: 마을 주민들이 제작한 전통 공예품, 생활 소품 등.
  • 서비스: 간단한 수리 서비스, 현장에서의 요리 체험, 지역 투어 상품 등.

2) 물리적 공간

  • 마을회관, 공공시설, 유휴공간, 공원 등을 활용한 장터 공간 조성.
  • 친환경적이고 지역적 특색을 살린 부스와 장터 디자인.

3) 주민과 참여 조직

  • 생산자: 지역 주민, 협동조합, 마을기업.
  • 운영자: 지역 주민과 행정기관, 마을단체가 협력하여 운영.
  • 소비자: 지역 주민뿐 아니라 관광객도 포함.

4) 프로그램

  • 판매 활동: 지역 상품 판매 및 체험 프로그램.
  • 교육: 사회적경제, 공정무역, 친환경 소비 관련 워크숍.
  • 문화 행사: 공연, 전시, 마을 역사와 전통을 알리는 프로그램.

4. 마을장터의 실행 방안

1) 기획 단계

  1. 필요성 조사와 비전 수립
    • 주민 설문조사와 지역 자원 조사를 통해 마을장터의 필요성을 파악.
    • 장터 운영의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운영 방향을 구체화.
  2. 운영 주체 구성
    • 주민, 마을기업, 협동조합, 행정기관, 전문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운영위원회를 구성.
  3. 공간 선정과 준비
    • 접근성이 좋은 장소를 선정하여 장터를 조성.
    • 기존 유휴 공간이나 공공시설을 활용하거나 임시 시설을 설치.
  4. 파트너십 구축
    • 지방자치단체, NGO, 사회적기업 등과 협력하여 운영의 안정성을 확보.

2) 실행 단계

  1. 상품 기획
    • 지역 특성을 살린 상품을 기획하고, 품질 관리를 통해 신뢰를 구축.
    • 공정한 가격 책정으로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거래 구조 설계.
  2. 홍보와 마케팅
    • 지역사회 내 커뮤니티와 SNS, 지역 매체를 활용하여 홍보.
    • 관광객 유치를 위해 지역 특색을 강조한 콘텐츠 제작.
  3. 프로그램 운영
    • 판매 부스 운영 외에도 교육, 체험, 문화 행사를 결합한 프로그램 구성.
    • 예를 들어, 로컬푸드 요리 강좌, 전통 공예 체험 프로그램, 환경 워크숍 등.
  4. 모니터링과 개선
    • 장터 운영 중 소비자와 참여자 피드백을 수집.
    • 이를 바탕으로 운영 방식을 지속적으로 개선.

3) 지속 가능성 확보

  • 재정 안정성: 수익 외에도 공공기관 지원, 민간 후원, 주민 펀딩 등을 통해 안정적인 재원 확보.
  • 주민 역량 강화: 운영 주체와 참여자를 대상으로 교육과 워크숍을 통해 지속적인 역량 강화.

5. 마을장터의 사례

1) 완주군 ‘로컬푸드 직매장’

  • 개요: 완주군의 농민들이 생산한 로컬푸드를 직거래로 판매하는 장터.
  • 특징:
    • 농민이 직접 자신의 이름과 생산 과정을 표시한 상품을 판매.
    • 공정한 가격으로 소비자는 신뢰를 얻고, 농민은 안정적인 소득을 확보.
    • 로컬푸드 요리 체험과 교육 프로그램을 병행하여 소비자와 생산자 간의 교류를 활성화.

2) 서울 성미산마을 ‘마을장터’

  • 개요: 성미산 마을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운영하는 마을장터.
  • 특징:
    • 지역 주민들이 만든 수공예품과 친환경 제품 판매.
    •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워크숍, 공연 등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 제공.
    • 마을의 환경 보호와 사회적경제 가치 실현을 목표로 운영.

3) 제주도 ‘사려니숲길 장터’

  • 개요: 제주 사려니숲길에서 열리는 친환경 마을장터.
  • 특징:
    • 지역 농산물, 제주 전통 음식, 수공예품 판매.
    • 숲길 체험과 연계하여 관광객을 유치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
    • 친환경 포장과 재활용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속 가능한 소비를 장려.

6. 마을장터의 기대 효과

  1. 사회적경제 경험 제공
    • 주민들이 사회적경제의 원칙과 가치를 직접 체험하며, 지역 내 경제활동의 주체로 성장.
  2. 지역 경제 활성화
    • 지역 생산물의 소비를 촉진하고, 지역 자원의 순환을 강화.
    • 소규모 창업 기회를 제공하고, 취약계층의 경제 활동을 지원.
  3. 공동체 의식 강화
    • 주민 간 협력과 교류를 통해 공동체의 신뢰와 연대를 강화.
    • 장터를 통해 지역사회가 하나로 연결되는 경험을 제공.
  4. 문화와 환경 보호
    • 지역 고유의 문화와 전통을 보존하고 홍보.
    • 지속 가능한 생산과 소비를 장려하며 환경 보호에 기여.

 

마을장터는 지역 주민과 생산자, 소비자가 모두 참여하는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공간으로, 사회적경제의 가치를 체험하고 학습하는 중요한 플랫폼이다. 이를 통해 주민들은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며 지속 가능한 공동체를 만들어가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성공적인 마을장터 운영은 주민의 자발적 참여와 지역 특성을 살린 기획, 그리고 지속 가능성을 위한 체계적 관리에 달려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