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47 성과평가_사례를 통한 승승적 갈등해결1 사례1_ 성과 평가 결과에 대한 팀장과 구성원의 갈등 강팀장은 12월 10명의 팀원들에 대한 성과평가를 실시했다. 회사에서 제시한 객관적 기준을 바탕으로 공정하게 평가를 하려고 애를 썼다. 평가 기간이 종료되고 이의 신청 기간에 한명의 팀원이 이의 신청을 해 왔다. 신청 사유는 본인의 실적이 공정하게 평가되지 못하고, 팀장의 주관이 개입되어 하향 평가 되었다는 것이다. 박팀장은 이의 신청서를 보는 순간 팀원에 대한 괘씸한 마음이 들어 썩 감정이 좋지는 않았지만 최대한 객관적인 대화를 나워야 겠다는 다짐을 하고 해당 팀원과 대화를 나눴다. 박팀장: 정대리, 이의신청을 했더라고, 물론 정대리가 한 해 애썼는데 그에 비해 결과가 서운할순 있겠지. 하지만 최대한 객관적 기준을 가지고 평가를 했는데 어느 부분이 .. 2022. 12. 31. 사람과 문제의 분리 사람과 문제를 분리하라 우리는 감정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채 대화하면서 갈등이 심화되거나 없던 갈등도 생기는 장면을 종종 볼 수 있다. 자극과 반응 사이에 공간을 두지 못하고, 자극에 대해 바로 습관적으로 반응하는 반사적 대화는 갈등상황에서 승-패, 혹은 패-패의 결과를 가져오기 쉽다. 따라서 자극과 반응사이에 공간을 둔 의식적 대화를 위해서는 사람과 문제의 분리, 감정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렇다면 갈등 상황에서 어떻게 감정을 관리할 수 있을까. 심리학자들과 의학계에서는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을 제안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STOP - THINK - CHOOSE라는 3가지 감정관리 기법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1. STOP - 우리가 갈등 상황에 처하게 되면 대체로 감정이 불편해지기 때문.. 2022. 12. 29. 갈등 유형별 갈등 관리 방식 갈등유형별 갈등 관리 방식 1. 회피형 - 회피형이 우세한 경우, 습관적으로 회피형의 방식만 사용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좋지 않다. 회피만으로 일관학게 되면 더 큰 갈등이 생기고 무책임하다는 피드백이 돌아올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조직의 리더가 회피형이라면 구성원들은 무책임한 리더로 인해 업무적으로도, 인간 관계에서도 수많은 갈등 속에서 허우적 댈 것이다. 팀원이 회피형이라면 리더 입장에서 무책임한 후배가 곱게 보일리가 없다. - 그러나 그 갈등의 이슈가 본인에게 너무나 사소하거나 본인 이외에 제 3자가 그 문제를 더 잘 해결할 수 있다면 갈등으로부터 잠시 거리를 두는 것도 좋다. 또 갈등을 지금 당장 해결하기보다는 좀 더 다양한 자원을 확보하고, 사실 관계를 파악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그 때도 일시적.. 2022. 12. 27. 갈등관리의 5가지 유형 5가지 갈등 관리 유형의 이해 Tomas and Kilmann은 상대방 혹은 조직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는데 관심이 있는 협력성과 자신의 요구를 충족하는데 관심이 잇는 독단성의 두 차원을 결합하여 5가지 유형을 제시한다. 5가지 유형은 '괜히 참견했다가 손해보고 싶지 않다' 회피형, '일단 이기고 봐야지' 경쟁형, '져주는게 이기는 거야' 양보형, '반-반 양보합시다.' 타협형, '허심탄회하게 문제를 이야기하고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결론을 내리자' 협력형으로 나눠 볼수 있다. 1. 회피형 lose - lose 회피형은 말 그대로 갈등 상황에서 그 문제를 해결하려 하기 보다는 갈등 문제를 무시하거나 모른 척 회피한다. 상대방의 요구와 자신의 요구에 큰 관심이 없거나 이기고 지는 것에 관심을 두지 않는 스타일.. 2022. 12. 26. OK-OK 삶의 태도 갈등관리를 위한 OK-OK 삶의 태도 갈등 설계를 위한 세가지 관점 (모두가 승자가 될 수 있다. 갈등은 서로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지혜로운 갈등관리는 성장을 이끈다.)을 기반으로 갇릉 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갈등에 직면하는 개인이 건강해야 합니다. 자신과 타인을 바라보는 관점이 객관적이고 긍정적일 때, 적극적 갈등관리가 가능합니다. 심리학자 에릭 번은 "자기나 타인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며 어떤 결론을 내리고 있는가"를 '인생태도'라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매일, 매순간 선택하는 과정에서 바로 이 인생태도가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갈등상황에서 당사자인 나와 타인을 어떤 관점으로 보느냐, 즉 인생태도는 갈등상황에 나의 행동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습니다. you're ok i'.. 2022. 12. 23. 갈등 설계를 위한 관점 1. 갈등과 성과와의 관계 - 갈등은 우리에게 무조건 부적정인 결과만 가지고 오는 것은 아닙니다. 갈등은 나쁜 것이므로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는 전통적 관점을 넘어서 이제 조직에서 갈등이 생기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며 피할 수 없다고 보거나 갈등이 오히려 조직이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 갈등이 아예 드러나지 않는 갈등 부재의 상황은 오히려 조직의 성장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조직내 구성원들이 자신의 생각을 건강하게 이야기 하지 못하고 침묵으로 일관한다면 조직은 정체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 반면 갈등을 미숙한 방식으로 대처함으로써 파괴적 결론을 내린다면 그 역시 갈등의 역기능만 부각되는 것입니다. - 갈등은 있지만 조직의 성과도 올가가는 적당한 갈등에.. 2022. 12. 21.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5 다음